본문 바로가기
내가 보려고 모으는 건강 정보/루푸스 이야기

손 끝이 하얘지고 저린다? 혹시 나도 '레이노 증후근'?

by 안도의 2025. 4. 19.
728x90
반응형

겨울철, 손이 시릴 정도로 차가워지는 걸 경험해 본 적 있으신가요?

그런데 이게 단순한 '손발이 차다'를 넘어서,

손가락 끝이 하얘지고, 파랗게 변하고, 따끔거리고, 감각이 사라지는 일이 반복된다면

그건 단순한 냉증이 아니라 레이노 현상(Raynaud's phenomenon)일 수 있습니다.

 

이번 포스팅은 이 독특한 증상인 레이노 현상, 레이노 증후근에 대해

원인, 증상, 치료, 생활 관리법까지 친절하게 풀어보겠습니다.

 


레이노 증후근이란?

레이노 현상은 손가락(혹은 발가락)의 혈관이 과도하게 수축하면서

일시적으로 혈류가 줄거나 차단되는 증상입니다.

그 결과 손이나 발 끝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색이 변합니다.

 

대표적인 3단계 색 변화

  1. 하얘짐(창백) -혈류가 급격히 줄어들며 손가락이 새하얘짐
  2. 푸르스름함(청색증) -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며 파랗게 변함
  3. 붉어짐(충혈) -혈류가 다시 돌아오며 붉고 따끔거림

이러한 현상은 대개 차가운 날씨나 스트레스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유발되며,

몇 분에서 수십 분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.

 

 


왜 생기는 걸까? - 원인과 유형

 

레이노 현상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1차성 레이노 현상
    -특별한 질병 없이 발생하는 가벼운 형태
    -주로 젊은 여성에게 흔함
    -유전적 요인이 작용할 수 있음
    -대개 심각한 합병증 없이 일시적인 증상만 나타남

 

  • 2차성 레이노 현상 (다른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)
    -전신경화증(경피증)
    -전신홍반루푸스(SLE)
    -류마티스 관절염
    -쇼그렌 증후군
    -버거병 등
  • 혈관 손상, 피부 괴사, 궤양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함.

 


어떤 사람에게 잘 생기나요?

  • 10~30대 여성에게 흔함
  • 가족 중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
  • 손발이 차가운 체질
  • 스트레스에 민감한 성격
  • 흡연자, 카페인 과다 섭취자
  • 진동 공구나 냉동 작업에 종사하는 사람

일상에서의 증상은?

  • 겨울철 바깥에 잠깐 나갔다가 손끝이 새하얗게 변해요
  • 손발이 찌릿하고 감각이 없어져요
  •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했을 때 손이 싸늘해져요
  • 손끝에 감각저하, 저림, 따가움, 통증이 느껴져요

이런 증상이 반복되면, 일상생활이 꽤 불편해지죠.

 


어떻게 진단할까?

자가진단만으로는 정확하지 않아요.

증상이 심하거나 자주 나타난다면 병원에 방문해 류마티스 내과나 피부과를 찾아가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병원에서는 이런 검사를 진행합니다.

  • 문진 및 가족력 조사
  • 모세혈관현미경 검사 - 손톱 밑 모세혈관 구조 확인
  • 혈액 검사 - 자가면역질환 유무 확인 (ANA, 항체 등)

 


치료 방법은? 

레이노 증후근은 완치의 개념보다 증상 조절과 관리가 핵심입니다.

 

약물 치료

  • 칼슘통로차단제 (예: 니페디핀) - 혈관 확장
  • 혈관확장제, 항고혈압제, 항혈소판제 등
  • 2차성인 경우 기저질환 치료 병행

비약물적 치료

  • 규칙적인 운동 (혈액순환에 도움)
  • 체온 유지 (특히 손과 발)
  • 스트레스 관리
  • 금연 및 카페인 제한

생활 속 관리법 -실천만 잘해도 절반은 성공!

 

  1. 항상 따뜻하게 유지하기 - 장갑, 두꺼운 양말, 보온 슬리퍼, 손난로 필수
  2. 냉장고 열 때도 주의 하기 - 증상이 심할 경우 작은 자극에도 발현될 수 있음.
  3. 손 발 마사지와 스트레칭 - 혈액순환을 돕고 증상을 예방
  4. 스트레스 줄이기 - 긴장과 불안도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
  5. 충분한 수분 섭취와 수면 - 전신 순환 기능을 도움

마무리하며

 

레이노 현상은 보기에는 단순한 말초 혈액순환 문제 같지만,

때로는 중요한 신체 이상을 알려주는 경고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특히 자주 반복되거나 증상이 심할 경우,

피부 괴사나 궤양이 생기기 전에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야해요.

조금만 관심을 갖고 생활 습관을 조절하면 증상은 얼마든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손끝 하나에도 건강의 신호가 숨어있다는 것, 잊지 마세요 :)

728x90
반응형